상식

시리아 내전: 원인, 개입국, 그리고 현재 상황

Project2050 2025. 3. 9. 20:21
728x90
반응형

1. 시리아 내전의 배경과 원인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운동의 여파로 시작되었다. 당시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은 부패, 경제적 불평등, 정치적 억압 등의 문제로 인해 국민들의 불만이 쌓여 있었다. 2011년 3월, 남부 도시 다라에서 정부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시작되었고, 알아사드 정권이 이를 강경 진압하면서 무력 충돌로 번졌다.

이후 시위는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반정부 시위대는 무장 투쟁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반군 세력이 형성되었고, 시리아는 정부군과 반군 간의 내전으로 빠져들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정치적 억압: 알아사드 정권은 1970년부터 시리아를 통치한 알아사드 가문의 독재를 지속했으며, 반정부 인사를 탄압했다.
  2. 경제적 불평등: 높은 실업률과 빈부 격차로 인해 국민들의 불만이 증가했다.
  3. 종파 갈등: 시리아는 종교적으로 다양한 국가이며, 알아사드는 시아파 계열인 알라위파 출신으로, 수니파 다수를 차별했다.
  4. 아랍의 봄 영향: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번지면서, 시리아에서도 반정부 운동이 촉발되었다.

2. 내전에 개입한 주요 외국 국가들

시리아 내전은 단순한 정부군과 반군의 충돌을 넘어 국제적인 proxy war(대리전) 성격을 띠게 되었다. 여러 국가가 각각의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이유로 개입했다.

국가개입 이유지원 세력

러시아 중동 내 영향력 유지, 지중해 해군 기지 보호, 반서방 전략 알아사드 정부군
이란 시아파 동맹 강화, 헤즈볼라 지원, 반이스라엘 전략 알아사드 정부군
터키 쿠르드 민병대 억제, 시리아 내 영향력 확대, 난민 문제 해결 반군, 일부 이슬람주의 세력
미국 IS 격퇴, 민주주의 확산, 이란 영향력 차단 쿠르드족, 반군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의 시리아 영향력 차단, 수니파 세력 강화 반군
이스라엘 이란의 시리아 내 군사적 활동 견제 반군 (비공식적 개입), 이란군 공습
프랑스, 영국 IS 격퇴, 난민 문제 대응 반군, 쿠르드족

각국의 개입은 시리아 내전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지역적 갈등을 초국가적 전쟁으로 변모시켰다.

3. 주요 세력과 전쟁의 흐름

시리아 내전은 다양한 세력이 얽힌 다층적 전쟁이다.

  1. 시리아 정부군 (알아사드 정권)
    •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받으며, 2015년 이후 반군 지역을 점차 탈환했다.
    • 2018년 동구타, 2019년 이들립 대부분을 장악하며 반군을 약화시켰다.
  2. 반군 (자유 시리아군, 이슬람주의 세력 포함)
    • 미국, 터키,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았다.
    • 2015년까지 알아사드를 위협했으나, 이후 러시아 개입으로 밀려났다.
  3. 쿠르드족 (시리아 민주군, YPG)
    • 미국의 지원을 받아 IS 격퇴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 터키는 쿠르드족이 자국 내 쿠르드 분리주의 운동과 연결될 가능성을 우려해 군사 작전을 감행했다.
  4. IS (이슬람국가, 다에쉬)
    • 2014년 시리아와 이라크 일부를 점령하며 칼리프 국가를 선포했다.
    • 미국, 러시아, 쿠르드족, 시리아 정부군 모두 IS와 전투를 벌였으며, 2019년 IS의 마지막 거점 바구즈가 함락되며 공식적으로 패배했다.

4. 현재 상황 (2024년 기준)

현재 시리아 내전은 사실상 정부군의 승리로 기울었으나, 지역별로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1. 알아사드 정권의 장악력
    • 시리아의 주요 도시와 서부 지역(다마스쿠스, 알레포, 하마 등)을 통제하고 있다.
    • 러시아와 이란의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재건을 추진 중이다.
  2. 이들립 반군 지역
    • 시리아 북서부 이들립 지역은 여전히 반군이 통제하고 있으며, 터키의 보호를 받고 있다.
    • 알아사드 정부군과 러시아는 지속적으로 공습을 가하고 있다.
  3. 쿠르드족과 터키 갈등
    • 터키는 2019년 "평화의 샘" 작전을 통해 시리아 북부의 쿠르드족 자치 지역을 공격했다.
    • 현재 쿠르드족과 터키 간의 긴장은 계속되고 있다.
  4.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
    • 이스라엘은 시리아 내 이란군 및 헤즈볼라 거점을 공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지적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5. 미국과 러시아의 대립
    • 미국은 쿠르드족과 일부 반군을 계속 지원 중이며, 러시아는 알아사드 정권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두 국가는 시리아 내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고 있지만, 간접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5. 결론

시리아 내전은 단순한 내전이 아니라 국제적인 대리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러시아, 이란, 터키, 미국 등 강대국들이 개입하며 갈등이 장기화되었고, 현재는 정부군이 승리한 상태지만 지역적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향후 전망은 불확실하다.

  • 알아사드 정권이 안정적으로 국가를 재건할지는 경제 문제와 국제적 제재 여부에 달려 있다.
  • 터키-쿠르드 갈등, 이란-이스라엘 충돌 등의 요인은 시리아가 완전한 평화를 이루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시리아 내전은 단순한 내전이 아닌 국제 정치의 축소판이며, 앞으로도 중동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