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취약 2

한국 경제의 가장 취약한 고리, 어디인가? — 2025년 현실 진단

2025년, 한국 경제는 더 이상 ‘고속 성장 국가’로 불리지 않는다.수출 중심 성장 모델은 피로감을 보이고, 내수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다.모든 지표가 나쁘지는 않지만, 분명히 균열은 여기저기서 생기고 있다.“지금 한국 경제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무엇인가?”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단순한 숫자보다, 구조와 맥락을 들여다봐야 한다.🔻 1. 내수 시장의 구조적 부진 — ‘돈을 쓸 수가 없다’경제의 두 축은 수출과 내수다. 수출이 외풍에 흔들릴 때, 내수가 받쳐줘야 버틴다.하지만 한국의 내수는 한계소비성향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가계는 이미 한계에 도달가계부채 비율은 GDP 대비 105% 수준. OECD 최고 수준고금리로 인해 이자 부담이 커지며 소비 여력 급감2030 청년층, 5060 은퇴 세대 모두..

금융 2025.04.05

지진은 평등하지 않다 — 강진이 가난한 나라를 더 아프게 만드는 이유

3월 28일, 미얀마 중부가 무너졌다. 규모 7.7의 강진이 대지를 뒤흔들었고, 몇 초 만에 수천 채의 건물이 쓰러졌다. 잔해 더미에서 울부짖는 사람들, 고립된 마을, 붕괴된 교량. 뉴스 헤드라인은 처참한 현장을 연일 전했고, 전 세계가 애도를 표했다.그런데 익숙하지 않은가?네팔, 아이티,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유독 가난한 나라일수록 지진 피해가 더욱 참혹하다. 왜일까? 자연은 원래 공정한 법인데, 결과는 늘 불공평하다.1. 내진설계? 그게 뭔데?강진의 피해를 좌우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는 건물이다. 현대 도시의 절반 이상이 콘크리트 위에 세워졌고, 그것이 얼마나 잘 버티느냐에 따라 사망자 수는 수십 배까지 차이가 난다.문제는, 가난한 국가일수록 내진설계가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표준 ..

상식 2025.03.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