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강남 60

매도 물량이 대폭 늘었다고? 정말?

매물 증가 추이: 6개월 대비는 증가, 1달 전 대비는 감소! 최근 가격이 상승한 틈을 타 매도를 위하기 위한 세력이 커지고 있다, 매도 물량이 쌓이고 있다 등등의 언급이 언론을 통해 흘러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진짜 매물은 얼마나, 언제에 비해 어느 정도 늘어났을까? 아래 표는 6개월 전에 비해 매물이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보여준다. 강남구, 중랑구 등이 각각 22.5%, 9% 정도 매물이 늘었고, 중구, 서초구까지 포함해 4개구 이외에는 매물이 오히려 줄었다. 3개월 전에 비교했을 때에는 매도 물량이 얼마나 늘었는지 비교해보자. 확실히 6개월 전에 비해 매도 물량이 늘어난 구가 많아졌다. 강남구 16.4%, 송파구 8.5%, 강동구 4.5%, 금천구 4.5%, 동작구 4.3%, 중랑구 3.3%, 마포구 ..

부동산 2023.10.03

강남, 목동 위주 상승세! 반등이 시작되는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 하락이 보합으로 바뀌고,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이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다. 특히 강남3구를 중심으로 가격 반등 조짐이 보이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다만 미국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경체 연착륙 혹은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미국 경제침체가 시작될 경우,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향후 경제 상황을 우리나라와 미국, 전세계 상황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주별, 월별 매매가 변동~ 우선 주별 매매가 변동을 보자. 17월 24일 매매가 변동을 보면 서울은 -0.1에서 보합으로 바뀌고 있다. 전반적으로 강남은 보합이나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강북권은 보합에서 약한 하락 추세로 반전되었다. 7/17일 주 강남권은 +0.1, 0.0 등..

부동산 2023.08.05

강남권부터 아파트 가격 반등 중!

최근 아파트 가격이 서서히 반등 중이다. 서울 지역은 3주 전, 2주 전, 1주 전에 모두 보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강북권, 강남권 모두 보합 상태이지만 일부 구에서는 상승 반전해서 상승 추세로 바뀌고 있다. 1주 전 서초구와 강동구는 보합, 강남구와 송파구는 2주 전에 비해 각각 +0.1, +0.2로 올랐다. 그리고 지난 주에는 서초구 +0.1, 강남구 +0.1, 송파구 +0.3, 강동구 +0.3으로 상승 반전했다. 반면 중구는 보합에서 -0.1, 중랑구는 보합에서 -0.3, 도봉구는 -0.1에서 -0.2 등으로 하락하는 중이다. 마초구는 +0.1이었다가 보합으로 바뀌었으며, 동작구도 -0.2에서 보합으로, 관악구도 -0.1에서 보합으로 바뀌고 있다. 반면 서울 지역의 매물은 감소하고 있다. 10일..

부동산 2023.07.11

서울 부동산 매수 심리, 강남권이 더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최근 주택가격심리지수, 즉 매수 심리가 다소 개선되었다. 서울의 경우 2022년 11월에 바닥을 찍고 조금씩 다시 올라오기 시작했다. 11월 28일 매수우위 지수가 15.8까지 내려갔다가, 4월 10일 28.2까지 올라왔다. 작년 11월 때의 매수 지수는 2013년 때 있었던 지수였으며, 최근 다소 회복되어 2014년도 매수 지수 수준에 도달했다. 2014년도 매수 지수 변화를 보면 등락을 거듭하다가 본격적인 상승기를 맞이했다. 이번에도 매수 심리가 회복됨에 따라 어느 정도 상승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강남권 매수 심리 회복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4년 4월 저점이었던 29.7까지 회복되었다. 강북권 매수 심리는 강남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회복된 모습이다. 강북권은 매수 심리가 ..

부동산 2023.04.15

강남보다 서초 하락율이 커지고 있다!

최근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거래량이 늘었다, 최저가 매물이 소화되면서 호가가 5-10% 정도 조정되자 반등하기 시작했다는 기사들이 나온다. 다른 한편에서는 하락이 계속되고 있다는 기사가 뜨고 있다. 현재 부동산 가격은 도대체 어떻게 되고 있는 걸까 참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이럴 수록 부동산 가격 변화를 데이터로 확인하고, 일부가 아닌 전체 숲을 살펴보아야 한다. 최근 2개월 간 가격 변동을 보면 서울의 경우, 2월 대비 3월에 -1.03, 4월 초에는 -.65 하락하고 있다. 하락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 평균 하락율 보다 덜 빠진 지역은 역시 주요 상급지들이다. 강남권은 동기간 동안 -.9, -.53, 강북권은 -1.25, -.68 하락했다. 전반적으로 강남보다 강북쪽 하락폭..

부동산 2023.04.09

[용산, 강남] 62평보다 비싼 50평(용산)? 34평보다 더 비싼 31평(은마)?

같은 단지 아파트라도 층수나 지하철, 학교와의 근접성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하지만 어느 정도 상식 선에서 가격 차이가 나는 정도이지, 언뜻 납득하기 어려운 가격 차이는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최근 일부 서울에서도 6개월만에 30%가 하락하는 등 아파트 가격이 급락하면서 매매가도 혼란스러워지고 있다. 예를 들어 50평짜리 물건이 62평보다 더 비싼 가격에 나오는 등 가격 역전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급급급급매를 잘 잡던가, 향후 부동산 시장과 경제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매도 시기를 조율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실제로 가격 역전 현상이 어느 정도로 심한지 용산과 강남권쪽 아파트를 살펴보자. 용산 아파트 중에는 이렇게 가격이 역전된 아파트가 유난히 많다. 용산 파크타워..

부동산 2023.03.01

[시세] 용산, 종로 하락 중단, 서초구, 강남구 등은 하락폭 유지

최근 부동산 하락폭이 줄어들고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반등의 신호인지, 아니면 하락폭이 줄어들고 보합으로 넘어가는 단계인지, 아니면 하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 시책으로 속도가 잠시 주춤해진 것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이럴 때일수록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부동산 방향을 가늠하는 것이 좋다. 결론부터 정리하면 전반적으로 하락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용산구, 송파구, 종로구 등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대폭 줄었거나 하락이 멈춘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노원구 등은 하락폭이 오히려 커지면서 지역별로 아파트 가격 변동이 상이한 상황이다. 우선 장기적으로 보면 정점을 찍고 계속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아직 상승 기류가 확인될 정도의 데이터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서울 전체를 보면 2월 6일 주에..

부동산 2023.02.25

[시세] 강남3구 거래량 증가, 용산 종로는 감소

최근 거래량이 점점 살아나고 있다. 서울 중심으로 거래량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살펴보자. 강남구는 22년 9월 월별 거래량이 28건을 찍은 후 점점 상승해 10월 31건, 11월 37건, 12월 43건, 23년 1월에는 87건으로 최저 거래량에 비해 약 3배 정도 상승했다. 이 정도의 거래량은 21년 11월(111건), 22년 5월(110건)과 비슷한 것으로 거래량이 최근 들어 많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급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되었기 때문에 집값이 다시 상승기로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20-30억대 아파트들은 최저호가가 1억 정도 조정되어 상승한 가격에 나오고 있으므로, 2월과 3월 거래량 흐름과 가격대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최근 거래량증가는 정부의 규제 완화로 인한 것이..

부동산 2023.02.19

[시세] 은마 예상 분양가 평당 7,700만 원: 국평 26억 원!

은마 국평 34평 분양가가 평당 7,700만 원, 총 26억 원대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서울시에서 발표한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은 은마아파트 일반분양가가 전용 59미터는 19억 대 초반, 전용 84미터는 26억 초반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조합원 추가분담금(추분)은 7억 원까지 올라갈 수 있다. 31평형을 갖고 있는 사람이 84미터로 갈 경우 4.1억 원, 전용 91미터는 5.2억 원, 99미터는 6.9억 원, 전용 109미터느 7.8억 원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4평형 소유자는 그대로 84미터로 갈 경우 1.18억 원, 91미터는 2.18억 원, 99미터는 3.9억 원, 109미터는 7.76억 원이 더 필요하다. 현재 은마 31평형 최저 호가..

부동산 2023.02.18

[시세] 급락 단지 위주의 호가 상승: 은마, 엘리트 등

최근 급락한 단지 위주로 호가가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 지방 등 전국의 하락 기조는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단지의 호가 상승이 발생해 많은 전문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상승 반전으로 이어질 지, 혹은 주식의 데드 캣 바운스처럼 대출금리 인하와 미국의 금리 인상폭 조절 등으로 잠시 하락이 주춤한 정도였는지는 좀 더 두고보아야 알 것이다. 향후 신규 물건을 매수하거나,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면 현재 급변하는 부동산 흐름을 잘 읽고 좀 더 장기적인 시점으로 보아야 할 때이다. 특히 5년 전부터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이 세계 부동산 추세와 연동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최근 미국, 호주 등의 부동산 가격 하락도 눈여겨 보아야 한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부동산 2023.02.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