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강남 60

[대장아파트 시세 분석] 동작구 아크로리버하임: 27% 하락 중

대장아파트 시세 현황 시리즈로 이번에는 동작구 아크로리버하임(아리하)의 실거래 추이와 호가 현황을 알아보자. 아리하는 2019년 12월에 입주한 신축 아파트로 1,073세대의 대단지 아파트다. 동작구이지만 한강 조망이 가능하고 입지가 괜찮다는 점에서 최근 큰 상승세를 탔다. 10평대에서 50평대까지 다양한 평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국평 실거래가를 보면 19년 3월에 15.5억(9층), 4월에 15.3억(5층)에서 시작해 이후 상승장에 진입했다. 22년 2월 25.4억(5층)을 기록했는데, 이전 최저가 혹은 시초가에 비해 66% 정도 오른 가격이다. 특히 3년만에 66%가 올랐다는 점에서 제대로 상승한 단지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22년 초반부터는 상승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4월 24.8억(10..

부동산 2022.10.04

[대장아파트 시세 분석] 성동구 트리마제: 국평 기준 8~20% 하락 중

트리마제는 성동구의 대장 아파트 중 하나다. 2017년 입주한 신축 아파트로 총 688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10평대부터 80평대까지 다양한 평형으로 구성된 상급지 중 하나다. 트리마제는 거래량이 매우 적어 가격 변동을 살펴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올해 거래 기록이 있었던 평형을 위주로 살펴도록 하자. 11평의 소형 평수는 2018년 8억에 거래되었는데, 2021년 전후로 11억까지 상승했다. 약 38%의 상승률로 서울 평균에 비해서는 상승폭이 다소 적었다. 이 평형은 22년 4월 10.9억을 찍은 뒤 다음 달인 22년 5월 10.2억으로 0.7억이 하락했다. 약 5% 정도가 하락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 최저 호가가 11억(중층)을 감안하면 하락이 시작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20평..

부동산 2022.10.03

[최상급지 시세 분석] 래미안 대치 팰리스: 보합 혹은 소폭 상승

강남2구 최상급지 시세 현황 시리즈로 래대팰(래미안 대치 팰리스)를 살펴보자. (역시 연휴는 시간 여유가 있어서 좋다... ) 대치동은 일자리와 학군 때문에 가격이 유지되는 곳이며, 최근 삼성동 개발 호재로 인해 반사이익이 조금은 있을 것이라고 짐작되는 곳이다. 특히 삼성동과 가까운 쌍용 등의 재건축 단지가 반사이익을 받을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래대팰은 삼성동 개발 호재의 반사이익을 받기에는 좀 거리가 떨어져 있다. 하지만 불굴의 한국 최고의 학원가인 대치동 학원가와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에 있다는 점, 근처 일반 중고교도 우리나라 최고 수준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가격이 항상 타지역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다. (향후 특목고가 폐지될 경우 강남의 일반고가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는데, 그 가..

부동산 2022.10.02

[최상급지 시세 분석] 도곡 렉슬: 최고 15% 하락 중

최상급지 시세 현황 시리즈 일환으로 도곡동 대장 아파트 중 하나인 도곡 렉슬 실거래와 호가를 살펴보도록 하자. 도곡 렉슬은 3,002세대의 대규모 단지로 2006년도에 입주했다. 이제 신축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아직 구축이라고 하기도 어려운 상태다. 평형은 26평부터 68평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타워팰리스(타팰)과 함께 도곡동 대장아파트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도 강남 상급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도곡렉슬 국평은 꾸준하게 거래가 있는 편이다. 2017년을 12-13억대를 기점으로 22년 8월에는 31.5억이라는 최고 가격에 도달했다. 이번 상승기 동안 대략 2.5배 정도 오른 셈이다. 참고로 최근 거래량이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2022년에 거래가 없었던 평형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있..

부동산 2022.10.02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반포 현대 3억 재초환 부담금이 1억으로 줄어!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부담금 개편안이 발표되었다. 전체적으로 금액이 대폭 줄어들 예정이다. 부담금 대상 초과이익 기준을 3,000만원 초과에서 1억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1주택자는 절반까지 낮추어 준다. 재초환 금액이 1억 이하로 산정될 경우 부담금을 하나도 내지 않게 된 것이다. 즉 재건축 주택을 6년 이상 보유했던 1주택자는 10%, 10년 이상 보유할 경우에는 최대 50%까지 감면해준다. 정부는 지금까지 재초환 부담금이 총 84곳에 부과되었는데, 이 중 지방 32개 단지 중 21곳은 부담금이 아예 면제된다. 또 1억원 이상 부과되는 곳도 19곳에서 5곳으로 줄어들어 부담이 대폭 줄어들 것이라고 했다. 부담금 감소로 인한 최대 수혜자는 강남 등 고가 재건축을 가지고 있는 1주택자가 될 것으로..

부동산 2022.09.30

2012년 위기처럼 부동산이 하락할까?: 세곡, 수서, 일원 사례

2012년 위기가 재현될 것이라는 기사가 공포를 조성하면서 하락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락폭이 조금씩 커지고 있는데 일부 단지에서 송도, 세종 등에서 큰 폭으로 하락한 물건들이 출현하면서 다른 단지에도 같은 급락 물건이 나올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강남은 하락기에도 빠지지 않는다는 이상한 호언장담을 한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2012-2013년 당시 부동산 가격이 꽤 큰 폭으로 빠진 것은 누구나 아는 일이다. 모른다 해도 검색 몇 번이면 주르륵 자료가 뜬다. 다만 그간의 자료들은 일부 지역만을 서치해서 올린 것이므로 전체적인 그림을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블로그가 주는 공간의 자유로움을 활용해 지역별로 금융위기 당시 하락폭과 최근 상승폭을 순서대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부동산 2022.09.12

2012년 부동산 하락기보다 현재 하락이 더 심각할 수도 있다고... 그러면 2012년 부동산은 얼마나 하락했나?

언론에서 2008년 리만 브라더스 파산으로 인해 우리나라 부동산도 2012년 최악의 하락기를 맞았는데, 현재 부동산 하락이 2012년 하락했던 것보다 더 심할 수 있다는 기사를 내고 있다. 근거로 거래량 급락, 매매수급지수 하락 등을 들고 있다. 그렇다면 2012년에는 그 전 고점에 비해 얼마나 하락했던 것일까? (안전벨트를 어느 정도 꽉 묶어야 하는지 마음의 준비라도...) 강남 대표 아파트인 대치 은마를 보자. 2007년 12억대까지 갔던 은마아파트는 2013년 7억대 후반까지 하락했다. 5년 간 약 40% 정도 하락한 것으로 하락의 폭이 꽤 컸다. (하락만 5년째였다니...) 2013년 바닥을 찍은 은마아파트는 이후 급등해 2016~2017년 즈음 2007년의 가격을 회복했으며, 2022년 현재 최..

부동산 2022.09.11

최고 갭투자 인기 지역은 어디일까?

부동산 하락기라고 하지만 여전히 갭투자 수요는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조정장이 길어지면서 갭투자 패턴이 바뀌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 1년 갭투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을 보면 최근 언급이 많이 되었던 곳들이다. 1위는 서초구, 2위는 노원구, 3위는 강남구, 4위는 송파구, 5위 마포구 등 최근 급상승했던 지역이 순위에 올라 있다. 8위 권 내에서 건수가 가장 많았던 곳은 강남구다. 강남구는 1,042건으로 갭투자가 가장 활발한 곳이었으며, 2위는 975건을 기록한 노원구, 3위는 867건을 기록한 서초구였다. 주의해야 할 점은 갭투자 기간을 좁히면 그 결과가 조금 달라진다는 것이다. 최근 6개월 사이 갭투자 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일단 1위는 서초구, 2위는 강동구, 3위는 노원구,..

부동산 2022.09.10

이번 여름 서울에서는 어디가 가장 많이 빠졌을까? 서초, 강남, 용산, 노도강은 어떨까?

7월부터 집값이 본격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월에 일부 지역에서 조정을 받기 시작하더니 8월 들어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집값이 하락하고 있다. 그렇다면 서울과 경기도 중 어디 집값이 더 많이 빠졌을까? 외곽부터 빠진다는 말이 여기서도 그대로 통할까? 서울은 6월 보합, 7월 0.01% 상승, 8월 -0.21% 하락했다. 강남권은 7월 +0.05% 상승했다가 8월 -0.2% 하락했으며, 강북권은 6월과 7월 보합세를 보이다가 8월에만 -0.3% 빠졌다. 구별로 보면 강남권은 강남구가 7월 +0.32 상승했다가 8월 -0.05% 소폭 하락했다. 서초구는 7월 +0.15, 8월 보합세를 보이며 아직 하락폭이 거의 없는 상태다. 송파구는 7월 -0.13%, 8월 -0.4%로 계속 하락 중이다. 강북권을..

부동산 2022.09.10

[최고최저] 올해 강남구 압구정동 최고가와 최저가 매매는?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각 지역의 매매가도 출렁이고 있다. 각 지역의 매매 흐름을 보기 위하여 거래량, 매수심리 등을 볼 수도 있지만 최고가, 최저가 변동을 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오늘은 그 중 우리나라 최고가를 형성하는 압구정동의 2022년 거래된 최고가와 최저가 아파트를 살펴보고자 한다. 올해 들어 가장 비싸게 팔린 아파트는 역시 현대 1,2차 63평형이다. 22년 1월 63평형 9층이 80억에 팔렸다. 그렇다면 현재 시세는 얼마일까? 네이버 부동산에 따르면 9월 6일 기준 3층 물건이 73억-80억에 나와 있으며, 13층 고층의 경우 83억이다. 즉 올해 초 거래가에 비해 저층은 다소 하락한 감이 있지만 중고층은 시세가 올초와 비슷하다. 최고가 2위는 현대 9, 11, 12차 61평형 4층..

부동산 2022.09.06
728x90
반응형